pISSN: 1738-5377 / eISSN: 2713-6027

교회사학, Vol.24 (2024)
pp.47~100

DOI : 10.35135/casky.2024.24.47

시암 대목구 선교사 브뤼기에르 신부와 조선 선교지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초대 조선 대목구장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Barthélémy Bruguière, 1792-1835) 주교의 생애와 행적에서 연구의 주제로 삼아야 할 사항들은 많다. 시암 대목구 선교사로서 방콕에서 활동하던 브뤼기에르 신부가 조 선 선교지로 다시 파견되기를 희망하였다. 그의 선택은 파리외방전교회 내부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소명을 다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 결과로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은 조선 대목구를 설정하였 다. 그리고 그는 브뤼기에르 주교를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하였다. 이 글은 고(故) 최석우(1922-2009) 몬시뇰과 고(故) 이영춘(1960- 2012) 신부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면서 몇 가지 세부 사항에 관한 의 문들을 해명하고자 한다. 첫째, 시암 대목구 선교사로 파견된 브뤼기에르 신부는 언제 어떤 경로로 조선 선교지를 알게 되었는가? 브뤼기에르 신부가 조선으로 가겠다고 하였을 때는 이미 조선과 조선 천주교회에 대한 사 전 지식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언제 누구로부터 어떤 내용으 로 조선 선교지를 알게 되었는지를 밝히면 브뤼기에르 신부가 조선 선교 사를 자원한 계기를 이해하는 단서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파리 본부는 포교성성과의 교섭 경위를 언제 어떤 내용으로 회원들에게 알렸나? 파리 본부에서 각 선교지에 보낸 서한에 조선 선교지 문제가 어떻게 실려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셋째, 초대 조선 대목구장의 자격으로 마카오에 도착 한 브뤼기에르 주교는 신설 대목구를 위하여 어떤 일을 하였나? 파리외방 전교회 회원들 사이에서는 조선 선교지를 맡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 었다. 브뤼기에르 주교는 이런 반대를 극복하기 위하여 로마와 파리로 편 지를 보냈다. 브뤼기에르 주교가 기울인 노력은 조선 대목구가 정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의문들을 풀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 에 소장된 문서 자료 제63권(Volume 63, Séminaire 1823-1839)을 활용 하였다. 이 자료는 낱장 서한들을 묶은 문서철이 아니라 가로 20㎝, 세로 32㎝의 크기에 168면으로 된 공책이다. 여기에는 1823년부터 1839년까 지 파리 본부에서 신학교 지도자의 명의로 각 선교지에 보내는 서한의 초 안이 적혀 있다. 그 가운데에는 파리 본부에서 조선 선교지 문제를 놓고 포 교성성과 교섭을 벌인 경위를 알리는 공동 서한, 로마에서 조선 대목구가 설정된 이후에 시암 대목구장 플로랑(Esprit-Marie Florens, 1762-1834) 주교, 브뤼기에르 주교, 마카오 대표부의 르그레주아(Pierre Legrégeois, 1801-1866) 신부에게 보낸 서한들이 들어 있다. 이 서한들에는 당시 파리 본부의 신학교 지도자들이 브뤼기에르 주교의 행동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가 잘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이 서한들을 분석하여 브뤼기에르 주교의 활 동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Fr. Bruguière, Missionary of Vicariate Apostolic of Siam and the Mission of Korea

CHO, Hyeon Beom

In the life and deeds of Bishop Barthélémy Bruguière (1792-1835), the first Vicar apostolic of Korea, there are many matters to be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As a missionary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Siam, Father Bruguière, working in Bangkok, hoped to be dispatched to the Mission of Korea. His choice caused various reactions inside the Paris Foreign Missions. He tried to fulfill his calling. As a result, Pope Gregorio XVI established the Vicariate apstolic of Korea. He then appointed Bishop Bruguière to the Vicar of Korean Catholic Church. This article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by the late Monsignor Choi Seok Woo(1922-2009) and the late Father Lee Young Chun(1960-2012), and attempts to clarify some questions about details. First, when and through what channels did Father Bruguière, who was dispatched as a missionary in the Vicariate apostolic of Siam, get to know about Korean Church? When Father Bruguière said he would go to Korea, it seems that he already had prior knowledge of Korea 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refore, if we could find out when and from whom he learned about the Mission of Korea, we can understand why Father Bruguière volunteered as a missionary in Korea. Second, when and how did the Paris headquarters inform the members about the negotiations with the Propaganda Fide of Rome? I would like to clarify how the issue of the Mission of Korea is contained in the letter sent from the Paris headquarters to each Mission. Third, what did Bishop Bruguière, who arrived in Macau as the first Vicar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do for the new Vicariate? There were also some negative opinions among the member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that they should not take on the Mission of Korea. Bishop Bruguière sent letters to Rome and Paris to overcome this opposition. The efforts made by Bishop Bruguièr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settlement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In order to solve the above questions, this paper utilized Volume 63(Séminaire 1823-1839) of the Archiv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This volume is not a file consisting of letters, but a notebook with 168 pages and 20cm wide and 32cm long. It contains drafts of letters from the Paris headquarters to each Mission in the name of the seminary leader from 1823 to 1839. Among them there are the letters informing the Paris headquarters of how they negotiated with the Propaganda Fide in Rome over the issue of the Mission of Korea, and letters sent to Bishop Florens(1762-1834), Bishop Bruguière, and Father Legrégeois(1801-1866) of the Procure of Macau after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Rome. These letters clearly show what the seminary leaders at the Paris headquarters thought of Bishop Bruguière’s actions at the time. Therefore, by analyzing these letters, we tried to clarify the activities of Bishop Bruguière and their significance.

Download PDF list




 
[12903]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망월동) 수원교회사연구소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31) 792-8541      E-mail : casky@casuwon.or.kr      대표 : 이용훈      사업자등록번호 : 135-82-00919
COPYRIGHT ⓒ 수원교회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