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738-5377 / eISSN: 2713-6027

교회사학, Vol.16 (2019)
pp.153~208

DOI : 10.35135/casky.2019.16.153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와 교우들의 삶 - 문학으로 만나는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 -

김윤선

(고려대 문화창의학부 부교수)

이글은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초기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의 신앙과 삶을 재구하고 분석하였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 형성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에서 창작, 향유, 전파된 작품을 발굴하고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신태보 옥중수기》, 〈빈낭유학기〉 및 정규하 신부의 서한에 수록된 이야기, 〈문베드로 자탄가〉, 〈경축가〉를 비롯한 천주가사, 〈조 마리아 할머니 이야기〉를 비롯한 구비전승된 이야기, 소설 〈용문산 김회장〉 등을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천주교 문학의 유산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풍수원 천주교 초기 공동체의 삶과 신앙을 조망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한국 천주교회 역사 안에서 풍수원 천주교회의 역사는 〈경축가〉에서 말한 것처럼 풍요롭다. 풍수원은 떠나온 자들의 교회, 이주자들이 모여 신앙으로 일군 새 하늘 새 땅이었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는 순교자들의 유가족과 박해를 피해 이주한 이들이 모여 신앙으로 교우촌을 형성하고 본당으로 이어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였다. 풍수원 성당이 설립된 이후에는 신자와 사제가 한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성당을 짓고 신앙을 지키며, 성장하고 나이 들어간 곳이다. 그들의 삶에 녹아든 신앙은 노래와 이야기로 표현되고 전해질 수 있었다.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글들을 ‘풍수원 천주교 문학’으로 명명한다면 풍수원의 천주교 문학 역시 풍수원 천주교회의 보배로운 유산이다. 정제된 표현으로 승화되지 않은 날 것으로서의 구비문학뿐 아니라 풍수원의 글쓰기에는 순교자 문학, 사제의 문학, 평신도 문학의 유산이 있다. 그들은 수기와 여행기, 서간과 소설, 그리고 노래와 가사를 남겼다. 그것은 한 지역의 문학으로서뿐 아니라 한국천주교 문학의 상징성을 응축하였다. 풍수원 천주교회가 한국 교회사에서 지역 교회의 의미를 넘어서는 상징성과 대표성이 있듯이 풍수원 천주교회가 남긴 문학 활동, 글쓰기 역시 그렇다.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후속 연구를 통해 앞으로 풍수원 천주교 공동체가 남긴 문학이 제대로 평가받고 전승되어야 할 것이다.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and the life of catholics - the review of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by literature

Kim, Yun-Sun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faith and the life of early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based on the literary works. We have find the literary works that were created, enjoyed and propagated in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from the early period of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ve studied them. As the result, we verified the stories-〈Sin Tae Bo's memory in jail〉, 〈Binnang’s story of studying abroad〉, 〈the story in the letters from Jeong Kyu Ha〉, Catholic lyrics; 〈Complain to Mun Peter, himself〉 and 〈lyric for celebration (Kyung Chuk Ga)〉, words of mouth transmission; 〈the stroy of granmather Joe〉, and a novel 〈President Kim of Yongmunsan Mountain〉 were the Catholic literary heritages from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and we had reviewed and analyzed the life and faith of the early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istory of Poongsuwon Catholic Church was rich as it was described in 〈the lyric for celebration〉. The Poongsuwon was the church for those who left, and a new heaven and a new land for those who moved, which was constructed with the faith.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prepared the place which the bereaved families of martyrs and those who moved from persecution were able to construct a believer's community with the faith and a base which it could become the main church. In there, the believers and the priests all together have made a community, built a church, kept their faith, grew and aged since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was constructed. The faith in their life could be described as a song and a story and be told. We can call the remained stories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left as 'Poongsuwon Catholic literature', so then, it also may be a holy heritage from Poongsuwon Catholic Church. There is not only oral literature as a pure expression that was not like a sophisticated expression but literature of martyr, literature of priest and literature of layperson in the Poongsuwon's writing. They have left their memorandum and travel note, letters and novel and song and lyric. It condensed the symbolism of Korean Catholic literature including literature of a region.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has a symbolism and representativeness beyond the meaning of community church in the korean catholic history, therefore, so does the literary activity and writing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hurch left. We think that in the future, with a follow-up study, literature that the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left has to be rightly regarded and to be told.

Download PDF list




 
[12903]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망월동) 수원교회사연구소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31) 792-8541      E-mail : casky@casuwon.or.kr      대표 : 이용훈      사업자등록번호 : 135-82-00919
COPYRIGHT ⓒ 수원교회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